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Woody's PLM Stroy

PLM 수행절차 본문

PLM

PLM 수행절차

Woody's PLM Stroy 2021. 5. 14. 08:17

요즘 정부의 스마트 팩토리 사업으로 가장 많이 구축하는 솔루션은 MES라고 생각됩니다.

많게는 비용의 70~80%까지 지원해 주는 사업을 통해 웬지 안하면 손해인듯 해서, 긴급하게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앞서도 말씀 드렸지만, ERP, PLM, MES 등의 시스템은 Tool일 뿐입니다.

Off-Line으로 프로세스가 잘정리되어 있고, 운영규칙이 잘 정리가 되어 있을때, Tool을 적용할 때,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현실은 도입을 하면서 프로세스를 잡고자 하고, 또 현업들이 본인의 업무가 있는 상황에서 부분적으로 관여를 하기에 충분한 자신들의 상황을 전달하지 못하고, 그 결과 시스템 도입사업의 대부분은 실패로 연결이 되는 걸 많이 봤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도움이 되고자, PLM에 한해서 저의 경험적인 부분을 정리해봤습니다.

도움이 되면 합니다.

간단하게 이런 솔루션이 있으면 좋겠다고 마음을 먹으면, 자료 수집을 하고, 내부 승인을 받고, 추진 하는 식으로 진행이 되겠죠.

비용이 드니, 비용에 대한 승인을 받기 위해선, 온갖 미사여구를 꾸며야 합니다.

핵심은 기대비용, 투자대비 효과

PLM PI나 BVA(Business Value Assessment) 하는 절차를 간략하게 표현해봤습니다.

그리고, 최근의PLM의 Trend를 한장에 Word중심으로 정리해봤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받아 최신 IT기술이 잔뜩 적용된 시스템들이 넘쳐납니다.

너무 앞서 가지 마세요. 시스템 도입은 한걸음 늦는것이 몸보신에는 좋을듯 합니다. (^^;)

계속 변하는 시스템의 Trend에서 제가 요즘 생각하는 핵심은 Governance 의 확보입니다.

PLM은 제품정보의 Platform으로서의 역할,

ERP는 전사경영정보의 Platform으로서의 역할,

MES는 생산정보의 Platform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전체 회사의 시스템을 구성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마지막 장은, 실제 PLM을 추진하고자 할때, 만약 본인이 PM로 선정이 될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러프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자료를 보시고 궁금점이나 생각이 다른 분이 계시다면 쪽지나 메일로 문의를 주세요.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저도 순수한 의도로 여기에 글을 올리진(?) 않습니다.

하지만, PLM엔지니어로서 제 능력치 안에선 도움을 드릴수 있을 것 입니다.

(특정 솔루션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참고로 전 메이저 PLM 2곳의 경험과 자체 설계&구현한 제품을 현재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pass829@naver.com

 

 

 

04.PLM고객준비 사항.pdf
0.28MB

'P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M 프로젝트시 직면하는 문제점  (0) 2021.05.19
PLM 미래  (0) 2021.05.14
PLM 모듈  (0) 2021.05.14
PLM 기대효과  (0) 2021.05.14
PLM 이란?  (0) 2021.05.14